1 naee61359a3dbb43f56.tl 비밀번호의 종말을 고하는 신호탄, '패스키'가 새로운 로그인 표준으로 떠오르는 이유 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카테고리 없음

비밀번호의 종말을 고하는 신호탄, '패스키'가 새로운 로그인 표준으로 떠오르는 이유

by ㄴ☆♡ 2025. 8. 4.
반응형

우리는 인터넷을 사용하기 시작한 이래로 수많은 비밀번호와 함께 살아왔습니다. 8자리 이상의 문자, 숫자, 특수문자를 조합해야 하는 복잡한 규칙, 주기적인 변경 요구 등 안전을 위해 고안된 규칙들은 오히려 우리를 괴롭히는 요인이 되곤 했습니다. "비밀번호는 재사용되고 잊어버리기도 하며, 도용되거나 피싱당할 수 있다"는 지적처럼, 비밀번호는 본질적인 취약점을 안고 있습니다.

사람은 비밀번호를 쉽게 기억하기 위해 단순한 조합을 사용하거나 여러 웹사이트에서 같은 비밀번호를 재사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한 곳에서 비밀번호가 유출되면 연쇄적으로 다른 계정까지 위험에 빠뜨리는 결과를 낳습니다. 또한, 정교해지는 피싱(Phishing) 공격은 가짜 로그인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탈취하며, 데이터 유출(Data Breach) 사고는 우리가 알지 못하는 사이에 수백만 명의 개인 정보와 함께 비밀번호를 어둠의 경로로 흘려보내기도 합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비밀번호는 더 길고 복잡해졌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되지 못했습니다. 오히려 사용자 경험(UX)을 악화시켜 보안의 가장 약한 고리인 '사용자'를 더 피로하게 만들었을 뿐입니다. 이제 IT 업계는 이 낡은 유산을 대체할 새로운 표준, 바로 패스키(Passkey)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패스키(Passkey), 차세대 로그인 표준의 탄생

패스키는 사용자가 계정에 로그인할 때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대신, 스마트폰이나 PC에 저장된 생체인식 정보(지문, 얼굴 인식)나 PIN을 사용해 로그인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비밀번호를 기억하거나 입력할 필요 없이 안전하고 간편한 로그인 경험을 제공합니다. 단순히 비밀번호를 생체인식으로 대체하는 것을 넘어, 훨씬 더 강력한 보안 기술을 기반으로 합니다.

패스키의 핵심 기술은 FIDO 얼라이언스(Fast IDentity Online Alliance)가 개발한 웹오센(WebAuthn) 표준에 기반을 둡니다. 이 기술은 로그인 정보를 서버에 저장하는 방식이 아니라, 공개 키 암호화(Public Key Cryptography) 방식을 사용합니다.

▪︎공개 키 (Public Key): 사용자가 패스키를 생성하면, 웹사이트 서버에는 공개 키가 저장됩니다. 이 키는 비밀번호처럼 민감한 정보가 아니며, 유출되어도 계정 탈취에 사용될 수 없습니다.
▪︎개인 키 (Private Key): 개인 키는 사용자의 기기(스마트폰, PC 등) 내부에 안전하게 저장됩니다. 이 키는 생체인식이나 PIN을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으며, 기기 밖으로 노출되지 않습니다.

로그인 시, 서버는 공개 키를 이용해 사용자 기기에서 생성된 서명을 검증합니다. 이 과정에서 개인 키는 절대 서버로 전송되지 않으며, 오직 사용자의 기기에서만 작동합니다. 따라서 서버가 해킹당해도 개인 키는 안전하며, 피싱 사이트가 가짜 로그인 페이지를 통해 비밀번호를 훔치는 것도 원천적으로 불가능해집니다.

비밀번호 vs. 패스키: 무엇이 다를까?

패스키가 기존 비밀번호를 어떻게 뛰어넘는지 패스키의 압도적인 장점을 확인해 보세요.

기존 비밀번호 (Traditional Password)

보안성 : 서버에 저장되며 유출 위험 존재. 재사용 및 추측 공격에 취약.
피싱 저항성: 피싱 사이트를 통해 쉽게 탈취될 수 있음.
편의성: 외우고 입력해야 하며, 복잡성 규칙 때문에 불편함.
계정 복구: 비밀번호 재설정을 위해 이메일이나 SMS 인증이 필요.
다중 기기: 각 기기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함.

패스키 (Passkey)

보안성: 사용자의 기기에 개인 키가 안전하게 저장. 서버 유출에 영향받지 않음.
피싱 저항성: 피싱 사이트에서는 개인 키를 검증할 수 없어 탈취가 불가능함.
편의성: 생체인식(지문, 얼굴) 한 번이면 로그인 가능. 매우 간편함.
계정 복구: 기기 동기화(iCloud 키체인, 구글 패스워드 매니저 등)를 통해 복구
                  가능.
다중 기기: 기기 간 동기화되어 어느 기기에서나 쉽게 사용 가능
                 (예: PC 로그인 시 스마트폰으로 인증).

거대 기술 기업들의 지원사격: 비밀번호 없는 세상의 현실화

패스키가 단순한 기술적 시도를 넘어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 잡을 수 있었던 배경에는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와 같은 거대 기술 기업들의 전폭적인 지원이 있습니다. 이들은 FIDO 얼라이언스의 핵심 회원사로서, 2022년부터 자사의 운영체제(iOS, macOS, Android, Windows)와 브라우저(Safari, Chrome, Edge)에 패스키 기능을 내장하기 시작했습니다.

애플: iCloud 키체인을 통해 기기 간 패스키를 안전하게 동기화합니다. 사용자는 아이폰의 페이스 ID나 터치 ID로 맥북에 로그인하는 등 매끄러운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구글: 구글 계정 사용자를 대상으로 패스키를 기본 로그인 방식으로 권장하고 있습니다. 크롬 브라우저와 안드로이드 기기에서 패스키를 쉽게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비밀번호 없는 세상"을 기치로 내걸며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의 비밀번호를 영구 삭제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고, 마이크로소프트 어센티케이터(Authenticator) 앱을 통해 패스키를 관리하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협력 덕분에 2025년 현재, 주요 웹사이트와 서비스들이 패스키를 도입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점차 비밀번호를 잊어가는 환경에 익숙해지고 있습니다. 이제 우리는 비밀번호 입력창 대신 "패스키로 로그인" 버튼을 보게 될 것입니다.

패스키 사용 예시: PC에서 쇼핑몰 로그인하기

패스키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기기를 넘나드는 편리함입니다. 예를 들어, 여러분이 PC에서 온라인 쇼핑몰에 로그인하려 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1. PC에서 쇼핑몰 로그인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2. 로그인 버튼을 누르면 "스마트폰으로 로그인" 옵션이 나타납니다.
2. PC 화면에 QR 코드가 표시됩니다.
4. 스마트폰으로 QR 코드를 스캔합니다.
5. 스마트폰 화면에 "이 기기에서 로그인하시겠습니까?"라는 알림이 뜹니다.
6. 스마트폰의 지문이나 얼굴 인식으로 본인 인증을 완료합니다.
7. PC 브라우저에서 자동으로 로그인이 완료됩니다.

이 과정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복잡한 인증 절차를 거칠 필요가 전혀 없습니다. 사용자는 손가락 한 번, 혹은 얼굴 인식 한 번으로 안전하게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용자에게 보안과 편의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안겨주는 혁신적인 경험입니다.

2025년, 패스키가 바꾸는 미래와 남은 과제

2025년은 패스키가 단순한 기술적 혁신을 넘어, 우리 삶의 일부로 깊숙이 자리 잡는 전환점이 될 것입니다. 주요 서비스들은 이미 패스키를 도입하고 있으며, 보안에 민감한 금융권 서비스들도 이를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몇 년 안에 패스키는 비밀번호를 완전히 대체하는 '새로운 표준'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물론,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들도 남아 있습니다. 패스키를 지원하지 않는 레거시 시스템과의 호환성 문제, 그리고 사용자들이 패스키의 개념과 작동 방식을 이해하도록 돕는 교육이 필요합니다. 또한, 기기를 분실했을 때의 복구 절차를 더욱 간편하고 안전하게 만드는 것도 중요한 과제입니다. 하지만 업계는 이미 클라우드 동기화와 백업 코드를 통해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해나가고 있습니다.

머지않아 우리는 '비밀번호'라는 단어를 역사책에서나 찾아보게 될지도 모릅니다. 패스키는 단순히 로그인 방식의 변화가 아닌, 우리가 온라인 세상을 경험하는 방식 자체를 바꾸는 거대한 흐름의 시작입니다. 이제 여러분의 손가락과 얼굴이 가장 안전한 비밀번호가 되는 시대가 열리고 있습니다.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